URL
일반적인 URL의 예
우리가 흔히 사이트 주소라고도 부르는 이 문구는 url이다. 이 url 맨 앞에 있는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는 번역을 해보자면 통신 규약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럼 http가 무슨 역할을 하는가?
앞에서 말해듯 통신규약이다. "사용자가 서버에 접속할 때 어떤 방식으로 접속할 것인가?" 이다.
그래서 url맨앞에는 어떤 통신 규칙을 쓰는가를 표시하는데, 우리가 주로 쓰는 통신 규약은 http와 https 이 두가지 이다.
그럼 두 번째 초록색으로 표시한 부분은 어떤것인가?
두번째는 host 또는 domain으로 불리는 어떤 특정 인터넷에 연결되어있는 컴퓨터를 가르키는 부분이다.
더 쉽게 설명하면 유튜브 주소를 보면 https://www.youtube.com/ 이런식으로 되어 있다.
//다음에 나오는 문구인 www.youtube.com 유튜브라는 사이트가 저 컴퓨터로 연결되어 있다는 것이다.
세 번째는 :다음에 나오는 저 숫자는 포트번호라고 한다.
주로 한 대의 컴퓨터 기기에 여러 대의 서버가 있는 경우 포트 번호를 부여해서 포트의 용도를 나누는 것이다.
네 번째 /다음에 나오는 노란색 문구는 부분은 path 즉 경로를 의미한다.
저 사이트를 열고 있는 특정 컴퓨터의 어떤 디렉토리 경로에 어떤 파일을 가리키는 문구이다.
마지막 문구는 query string이라고 부른다.
직역하면 요청문인데 위에서 말한 특정 경로에 있는 파일의 이런저런 데이터를 조회하고 싶어요 라고하는 요청이다.
저 query string에 따라 우리볼 수 있는 데이터가 달라지는 것이다.
기본적인 url 관련 모듈
fs 모듈
fs란 File System의 약자로 이름을 보면 알 수 있듯이 fs 모듈이란 파일이나 폴더를 쓰고, 읽고, 제거하는 기능을 가진 모듈을 의미한다.
기본적인 사용 방법은 다음과 같다.
모듈 불러오기(import)
// 1. CommonJS Modules
const fs = require("fs");
// 2. ES Modules
import fs from "fs";
파일 읽기(read)
fs.readFile('경로', 'utf8', callback); // 비동기
fs.readFileSync('경로'); // => <data> // 동기
동기, 비동기는 설명하기 귀찮으니 링크를 참고 하도록 하자
https://sirius7.tistory.com/44
[Node.js] 4. 동기 / 비동기
1. 동기(Synchronous)와 비동기(Asynchronous) Node.js의 특징은 비동기 처리를 고려해서 만들어졌다는 점이다. 그렇다면 동기는 뭐고 비동기란 무엇일까? - 동기(Synchronous) 동기는 한번에 한가지 작업을 하
sirius7.tistory.com
파일 쓰기(write)
fs.writeFile(경로, data, [options], callback) // 비동기
fs.writeFileSync(경로, data, [options]) // 동기
참고 링크
https://sirius7.tistory.com/46
[Node.js] 6. fs 모듈 (파일 읽기, 쓰기, 편집, 제거)
fs모듈 fs는 FileSystem의 약자로, fs 모듈은 Node.js에서 파일 입출력 처리를 할 때 사용한다. fs 모듈을 불러오기 위해 다음 코드를 작성한다. // 1. CommonJS Modules const fs = require("fs"); // 2. ES Modules import fs
sirius7.tistory.com